알고리즘 문제/백준

백준 18111번: 마인크래프트

수달과 다람쥐 2024. 5. 17. 13:16

본 포스팅은 문제의 풀이 보단 작성자의 개인적인 정리에 가깝습니다.
그냥 이 사람은 이렇게 풀었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8111

 

문제

팀 레드시프트는 대회 준비를 하다가 지루해져서 샌드박스 게임인 ‘마인크래프트’를 켰다. 마인크래프트는 1 × 1 × 1(세로, 가로, 높이) 크기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3차원 세계에서 자유롭게 땅을 파거나 집을 지을 수 있는 게임이다.

목재를 충분히 모은 lvalue는 집을 짓기로 하였다. 하지만 고르지 않은 땅에는 집을 지을 수 없기 때문에 땅의 높이를 모두 동일하게 만드는 ‘땅 고르기’ 작업을 해야 한다.

 

lvalue는 세로 N, 가로 M 크기의 집터를 골랐다. 집터 맨 왼쪽 위의 좌표는 (0, 0)이다. 우리의 목적은 이 집터 내의 땅의 높이를 일정하게 바꾸는 것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작업을 할 수 있다.

  1. 좌표 (i, j)의 가장 위에 있는 블록을 제거하여 인벤토리에 넣는다.
  2. 인벤토리에서 블록 하나를 꺼내어 좌표 (i, j)의 가장 위에 있는 블록 위에 놓는다.

1번 작업은 2초가 걸리며, 2번 작업은 1초가 걸린다. 밤에는 무서운 몬스터들이 나오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땅 고르기 작업을 마쳐야 한다. ‘땅 고르기’ 작업에 걸리는 최소 시간과 그 경우 땅의 높이를 출력하시오.


단, 집터 아래에 동굴 등 빈 공간은 존재하지 않으며, 집터 바깥에서 블록을 가져올 수 없다. 또한, 작업을 시작할 때 인벤토리에는 B개의 블록이 들어 있다. 땅의 높이는 256블록을 초과할 수 없으며, 음수가 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N, M, B가 주어진다. (1 ≤ M, N ≤ 500, 0 ≤ B ≤ 6.4 × 107)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각 M개의 정수로 땅의 높이가 주어진다. (i + 2)번째 줄의 (j + 1)번째 수는 좌표 (i, j)에서의 땅의 높이를 나타낸다. 땅의 높이는 256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땅을 고르는 데 걸리는 시간과 땅의 높이를 출력하시오. 답이 여러 개 있다면 그중에서 땅의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을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1

3 4 99
0 0 0 0
0 0 0 0
0 0 0 1

예제 출력1

2 0

예제 입력2

3 4 1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3

예제 출력2

1 64

예제 입력3

3 4 0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4 63

예제 출력3

22 63

예제 입력4

1 3 68
0 0 1

예제 출력4

2 1

예제 입력5

3 4 11
29 51 54 44
22 44 32 62
25 38 16 2

예제 출력5

250 35

예제 입력6

4 4 36
15 43 61 21
19 33 31 55
48 63 1 30
31 28 3 8

예제 출력6

355 32

예제 입력7

1 1 0
0

예제 출력7

0 0

예제 입력8

2 2 0
256 256
0 0

예제 출력8

768 128

예제 입력9

7 7 6000
30 21 48 55 1 1 4
0 0 0 0 0 0 0
15 4 4 4 4 4 8
20 40 60 10 20 30 2
1 1 1 1 1 1 9
24 12 33 7 14 25 3
3 3 3 3 3 3 32

예제 출력9

879 10

예제 입력10

2 2 35
20 10
190 40

예제 출력10

350 40

예제 입력11

2 2 68
120 90
250 170

예제 출력11

290 170

풀이

import sys

def brute(n,m,b,lis):
    time = 9999999999
    best_level = -1

    for target in range(0,257):
        cur_time = 0
        cur_b = b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height_diff = lis[i][j] - target
                if height_diff > 0:  
                    cur_time += 2 * height_diff
                    cur_b += height_diff
                elif height_diff < 0:
                    cur_time += - height_diff
                    cur_b -= -height_diff
        
        if cur_b >= 0 and cur_time <= time:
            if cur_time < time or (cur_time == time and target > best_level):
                time = cur_time
                best_level = target
    print(time, best_level)

def get_dic(lis):
    dic = {}
    for i in lis:
        for j in i:
            if(dic.get(j)==None):
                dic[j]=1
            else:
                dic[j]=dic[j]+1
    return dic

def test(n,m,b,lis):
    dic=get_dic(lis)
    min_time = 99999999999999
    best_level = -999999999999
    for target in range(0,257):
        time = 0
        blox = b
        for cur_target in dic.keys():
            if(target==cur_target):
                continue
            if(cur_target>target):
                time+=(cur_target-target)*2*dic[cur_target]
                blox+=(cur_target-target)*dic[cur_target]
            else:
                time+=(target-cur_target)*dic[cur_target]
                blox-=(target-cur_target)*dic[cur_target]
        if(blox>=0 and time<=min_time):
            if(best_level<target):
                best_level = target
            min_time = time
    print(min_time,best_level)


n = sys.stdin.readline().strip().split()
n,m,b = list(map(int,n))


lis = []
for i in range(n):
    temp = list(map(int,sys.stdin.readline().strip().split()))
    lis.append(temp)

# brute(n,m,b,lis)
test(n,m,b,lis)

 

답은 위와 같습니다

먼저 브르투포스 방식으로 풀었으나 시간초과가 발생해 dict를 통해 필요 횟수를 한번에 계산하는 방식으로 바꿨습니다

반례들을 입출력예시에 추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알고리즘 문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723번: 집합  (0) 2024.05.20
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1) 2024.05.20
백준 18110번: solved.ac  (0) 2024.05.16
백준 10773번: 제로  (0) 2024.05.16
백준 4949번: 균형잡힌 세상  (0) 2024.05.16